3가지의 일차적인 손목 굽힘 근육들에는 노쪽손목굽힘근, 자쪽손목굽힘근, 그리고 긴손바닥근이 있습니다. 인구의 약 10~15%는 긴손바닥근이 없습니다. 있다 하더라도 긴손바닥근은 힘줄들의 형태나 수에 있어 편차를 보일 것입니다. 이 근육의 힘줄은 힘줄이식술에 있어 공여체로써 흔히 사용됩니다.
3가지의 일차적 손목 굽힘근육들의 힘줄들은 앞쪽 아래팔의 먼쪽에서 특히 강력한 등척활성을 하는 동안 쉽게 식별될 수 있습니다. 촉진에 의해 쉽게 식별되지 않는 바닥쪽손목인대는 가로손목인대의 몸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폄근육 지지띠와 유사한 이 인대는 손목 굽힘근육들의 힘줄들을 안정시키며 굽힘 동안 과도하게 일어나는 활시위와 같은 작용을 방지합니다.
손목을 굽힘 시킬 수 있는 이차적인 근육으로는 외재성 손가락 굽힘근육들인 깊은손가락굽힘근, 얇은손가락굽힘근, 그리고 긴엄지굽힘근이 있습니다. 이러한 근육들은 "이차적인" 손목 굽힘근육들로 분류하였지만 손목 굽힘의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제한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근육들의 가로단면적과 손목 굽힘 근육의 모멘트 팔들에 근거해 외재성 손가락 굽힘근육들의 손목 굽힘의 토크 가능성은 일차적인 손목 굽힘근육들을 초과할 것입니다. 손목이 중립 위치에 있다면 긴엄지벌림근오가 짧은엄지폄근은 손목 굽힘에 대한 작은 모멘트 팔을 갖게 됩니다. 일차적인 손목 굽힘근육들의 몸쪽 부착 부위는 위팔뼈의 안쪽 위팔뼈관절융기와 자뼈의 등쪽모서리에 위치합니다. 원래, 노쪽손목굽힘근이 손목을 지나갈 때 손목굴을 통과하지 않고 오히려 큰마름뼈에 있는 고랑과 가로손목인대로부터의 근막에 의해 형성된 분리된 굴 안을 통과합니다. 노쪽손목굽힘근의 힘줄은 둘째 손허리뼈와 때로는 셋째 손허리뼈바닥의 바닥부에 먼쪽 부착부위를 갖습니다. 긴손바닥근은 주로 손바닥의 굵은 널힘줄에 먼 쪽 부착 부위를 갖습니다. 콩알 갈고리인대와 콩알손허리인대, 그리고 다섯째손허리뼈바닥에 부착하기 위해 먼 쪽으로 주행합니다.
모멘트팔과 가로단면적에 근거하여 자쪽손목굽힘근은 일차적인 3가지의 손목 굽힘근육들 중 가장 큰 손목 굽힘 토크를 생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능동적인 손목 굽힘 동안 노쪽 손목굽힘근과 자쪽 손목굽힘근은 협동근으로 작용하여 각각의 노쪽치우침과 자 쪽치우침의 경향을 서로 견제하여 손목 굽힘근육으로서 작용하게 됩니다. 손목 굽힘근육들은 손목 폄근육들보다 약 70%나 더 큰 등척성 토크를 생산합니다. 이런 차이는 손목 굽힘근육들의 총 가로 단면적이 더 크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외재성 손가락 굽힘근육들이 손목 굽힘근육들의 전체 가로 단면적인 약 2/3를 차지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입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당기는 것과 같은 활동들은 손목 굽힘근육들과 손가락 굽힘근육들에서의 근력을 필요로 합니다. 손가락 굽힘 시 손목 굽힘이라는 비효율적 자세를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활동들 동안 손목 폄근육들의 강력한 동시 활성이 요구됩니다.
손목의 노쪽치우침을 만들어내는 근육은 짧은 노쪽손목폄근과 긴노쪽손목폄근, 긴엄지폄근과 짧은엄지폄근, 노쪽손목굽힘근, 긴엄지벌림근, 그리고 긴엄지굽힘근입니다. 손목의 중립위치에서 노쪽치우침 토크를 생산하기 위해 가로단면적과 모멘트 팔을 곱했을 때 긴노쪽손목폄근과 긴엄지벌림근이 가장 큽니다. 짦은엄지폄근은 모든 노쪽치우침근육들 중 가장 큰 모멘트 팔을 갖고 있으나 가로단면적이 비교적 작기때문에 토크 또한 작습니다. 긴엄지벌림근과 짧은엄지폄근은 손목의 노쪽면에 대한 중요한 안정성을 제공하며 노쪽겉인대에 의한 수동적인 안정성을 증가시켜줍니다. 노쪽치우침근육들은 자쪽치우침근육들보다 약 15%나 더 큰 등척성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모든 근육은 손목운동을 위한 앞-뒤쪽 축에 대해 가쪽으로 지나갑니다. 모멘트 팔로 보여주고 있는 긴노쪽손목폄근과 노쪽손목굽힘근의 작용은 두 근육이 한가지 작용을 위해서는 협동근으로 작용하고 서로에 대해서는 대항근으로 작용하고 있는 좋은 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근육들의 협동에 의한 최종적인 결과는 손목의 노쪽치우침을 만들어 내는 것과 효율적으로 망치를 쥐기 위해 약간의 폄된 위치로 관절을 안정시키는 것입니다.
손목의 자쪽치우침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근육들에는 자쪽손목폄근, 자쪽손목굽힘근, 깊은손가락굽힘근, 얕은손가락굽힘근, 그리고 손가락폄근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멘트팔의 길이 때문에 자쪽치우침을 가장 잘 만들어 낼 수 있는 근육은 자쪽손목폄근과 자쪽 손목굽힘근입니다. 망치로 못을 내리치기 위해 수축하고 있는 한 쌍의 강력한 자쪽치우침근육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쪽손목굽힘근과 자쪽손목폄근은 자쪽치우침을 위해 협동적으로 수축하기도 하지만 손목의 안정을 위해 약간 폄 위치로도 위치시킵니다. 자쪽손목폄근과 자쪽손목굽힘근 사이의 강력한 기능적 관계 때문에, 어느 한쪽이라도 손상이 되면 자쪽치우침에 대한 전반적인 운동역학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예를 들어 류머티즘 관절염은 자쪽손목폄근의 먼 쪽 부착부위에 종종 염증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통증이 있는 자쪽손목폄근에서 활성 없이 또는 최소의 활성으로 능동적인 자쪽치우침을 시도하게 되면 자쪽손목굽힘근에 대한 자쪽손목폄근의 반대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자쪽손목굽힘근의 작용이 우세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손목은 굽힘된 자세가 되어 효율적인 잡기에는 부적절한 위치가 됩니다.
'운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섯 번째 중수골 경부 골절(권투선수 골절) / 무지중수지절관절의 척골 측부인대의 손상(사냥터지기의 무지) (2) | 2024.12.16 |
---|---|
신전건 손상 (2) | 2024.12.15 |
방아쇠수지(협착굴근 윤활막염) / 심수지굴근 박리 (3) | 2024.12.14 |
굴곡건 손상 (2) | 2024.12.14 |
손목 근육들의 기능 (4)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