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1

후방십자인대 손상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관한 지식은 지난 수년간 많은 발전을 보여 왔습니다. 그러나 이런 발전에도 불구하고 무릎관절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는 여전히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습니다. 후방십자인대에 관한 해부학적 및 생체역학적 이해는 비수술적 치료 및 수술 후 재활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기본을 이루고 있습니다.  후방십자인대는 근위경골의 후측 및 대퇴골 내과의 외측에 부착되는 복잡한 인대 구조물입니다. 후방십자인대는 두개의 기능적인 다발로 구성되는데, 큰 전외측 다발은 무릎관절 굴곡시 장력을 받게 되고 작은 후내측 다발은 무릎관절 신전시 장력을 받게 됩니다. 후방십자인대는 경골의 후방전위에 대한 일차적인 제한과 외회전에 대한 이차적인 제한의 역할을 합니다.  후방십자인대 손상은 주로 근위경골에 ..

운동학 2024.12.30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의 재활시 고려사항

무릎관절과 이식 재건술에 관한 생물학 및 생역학의 이해가 향상 되었듯이, 전방십자인대 손상 후 재활은 또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 후 재활은 또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1970년대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관절 절개를 크게하는 관절외 재건술이 이루어졌고, 환자를 수술후 오랜 기간 동안 부목으로 고정하였습니다. 1980년대에는 관절경적 관절내 재건술의 기술이 발달하여 관절을 크게 절개하는 수술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조기 관절운동에 초점을 둔 "가속" 재활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의 "가속" 재활 개념은 운동선수들이 과거보다 더 빨리 운동에 복귀하도록 발전하였습니다. 스포츠로의 빠른 복귀를 강조하면서 개방성 및 폐쇄성 역동체인운동 및 이식건의 변형률에 관한 쟁점이 전..

운동학 2024.12.30

어깨 불안정성 전방어깨 불안정성 이학적검사 비수술치료

어깨 관절은 본래 뼈의 배열에 기초하여 느슨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신체 어떤 부위의 관절에서 발견할 수 없을 만큼의 큰 범위의 움직임을 보입니다. 어깨는 운동성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지고, 가장 흔히 탈구되며, 탈구의 90%는 전방 탈구입니다. "어깨 불안정성" 은 탈구, 염좌 그리고 병리학상의 이완 같은 모든 범주의 장애를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어깨 불안정성과 연관된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상태에서 흔히 같이 연관되어 쓰이는 용어들을 정의해 보아야 합니다. 전이는 관절표면과 관계된 상완골의 움직임을 말합니다. 한편 이완은 전이가 발생하는 양을 의미합니다. 보통 일반 어깨에서도 약간의 이완은 일어납니다. 특히, 운동선수의 경우 1cm 이상의 후방 이완이 일어나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운동학 2024.12.24

배우 이종석 서울아산병원에 취약계층 환우 1억원 기부

'빅마우스', '로맨스는 별책부록', 'W' 등으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배우 이종석이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과 취약계층 환자 지원금으로 1억 원의 기부금을 전달하였다고 소속사 에이스팩토리에서 밝혔습니다. 이 기부를 통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아청소년 아이들의 수술 및 치료비, 중증 질환을 갖고 있는 소아청소년 환자와 가족들의 걱정과 고통을 완화시키고 더 나은 환경에서 자라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쓰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종석은 지난 2023년에도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 1억 원을 기부금을 전달 한 적이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 측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우리 병원에 전해진 이종석의 기부에 감사드린다. 지난해 전달된 어린이병원 기부금이 소아청소년 환우들에게 큰 지원이 된 만큼 올..

뉘우스 2024.12.23

충돌증후군 /원발성 충돌증후군 / 속발성 충돌 증후군

'충돌증후군'이란 용어는 회전근개가 오구견봉궁의 앞쪽 구조인 견봉의 앞쪽 1/3, 오구견봉인대 및 견봉쇄골관절에 의해서 병적으로 눌리는 임상 현상으로 1972년 Neer 에 의해 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운동이나 활동을 머리위로 하는 동안 회전근개 근육에 자극을 주어 상완골두를 눌러 주는 기능이 감소되어 (예, 상완골두와 오구 견봉궁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킴) 이는 충돌 현상을 더욱 심하게 만듭니다.  충돌증후군이 진행하게 되면 견봉쇔골 인대와 견봉의 앞 1/3 하면에 골극이 형성되어 견봉하 출구를 더욱더 좁게 만듭니다. 앞에서 서술한 모든 요소들은 회전근개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만성적으로 진행하면 회전근개를 헤지게 하며, 나아가 점차 회전근개를 파열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Neer는 이와 같은 충..

운동학 2024.12.21

오버헤드 운동선수의 회전근개 건염

오버헤드 운동은 최소한 팔이 90도의 전방굴곡이나 외전 또는 두 가지가 병합된 것으로 반복을 요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수영, 테니스 또는 던지기 운동을 하는 선수들은 반복되는 충격에 의해 결과적으로 어깨 관절 질환에 쉽게 노출됩니다. 상해의 빈도는 운동선수의 나이와 경기 시합의 수준에 연계되어 있스빈다. 의사들에 있어 이러한 환자들은 진단과 치료가 쉬운환자들은 아닙니다.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관절와상완관절의 과도한 이완을 보이며 이는 공 던지기에 필요한 어깨 관절의 전방 이완(앞쪽 관절막이 늘어난 것)이나 후방 어깨 관절의 보상적 구축(이차적으로 발생한 뒤쪽 어깨 관절이 쪼그라져 있는것) 으로부터 기인합니다. 관절와상완관절의 이완이 심해도 증상이 없는 경우는 관절와상완관절을 가로 지르는 역동적 안정성이 적..

카테고리 없음 2024.12.21

회전근개 검사 / 충돌검사

회전근개염, 활액낭염 또는 회전근개 파열 (운동검사에서 약함)은 종종 리도케인 검사로 감별이 가능합니다. 견봉하 활액낭내로 리도케인을 주사하면 종종환자의 통증이 완화되고 이로 인하여 진성 근력 평가를 가능해집니다. (통증으로 인한 근력평가의 제한을 받지 않음) 극하근은 외부에서 저항을 준 상태에서 외회전함으로써 근력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팔꿈치관절을 몸체 측면에 붙인 상태에서 (삼각근의 효과를 제거한 상태), 상완부 근력의 불균형을 비교합니다.   견갑하근은 외부에서 저항을 준 상태로 내회전함으로써 근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lift-off" 검사 또한 경갑하근 검사에 사용됩니다. 환자의 손을 등 뒤로 위치하여 저항에 반하여 손을 몸체에서 떨어지게 합니다.   회전근개 중 극상근 파열이 가장 흔합니..

운동학 2024.12.20

어깨 재활

어깨 복합체(shoulder complex)의 정상 기능을 위해서는 흉쇄관절, 견쇄관절, 상완와관절 등과 견갑흉부관절, 회전근개와 상위의 오웨견봉궁 경계면 사이의 조화된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성공적으로 팔을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최소한 30~40도의 쇄골부 상승 및 45~60도의 견갑부 회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관절들을 통한 움직임은 약 30개 근육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어깨 복합체 중 어느 부분의 병적 변화도 어깨의 정상적인 생체역학의 파열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어깨 복합체의 일차적인 목적은 일상생활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원하는 곳에 손을 위치시키는 것입니다. 이차적으로, 던지기 및 서브 동작과 같은 머리위에서 수행하는 운동경기 중, 어깨는 다리와 몸통의 크고, 강력한 근육들로부터의..

운동학 2024.12.20

신전근건 박리술 /추지

적응 -수술 후 손가락의 능동적 또는 수동적 움직임이 안정화 될 때  -근위부 지절간관절 및 원위부 지절간관절의 능동적 혹은 수동적 굴곡의 제한시  -신전 지연을 제외하고는 유연한 손가락의 경우 신전 구축에 대한 수술은 대개 장기간의 수술 전 치료를 요합니다. 재활치료에 적극적인 환자의 경우는 조기 수술 후 치료 프로그램이 기능적 예후에 매우 중요함이 잘 인지하는 편입니다. 수술 시 신전근, 골, 관절을 직접 보게 되면 예정되었던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어서 외과 의사는 이런 정보를 치료사나 환자에게 전해주게 됩니다. 이상적으로는 국소 마취하에 수술 과정이 진행되거나 수술이 끝날 무렵에 전신 마취에서 깨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한 경우 환자는 향상된 점을 바로 알 수 가 있고 의사는 능동적 움직임이나 ..

운동학 2024.12.17

원위부 요골 골절 2

손목은 손이 배측으로 전위된 상태로 변형된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이것은 "삼지창" 변형이라 불리는데 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저녁 포크와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원위부 척골 또한 두드러지게 보일 수 있습니다. 손목은 팽창되고 아프며 촉진은 마찰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상당히 전위된 골절을 가진 환자는 신경들과 피부를 포함한 연부조직에 압력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손상의 형태를 정의하는 것을 돕기 위해 마취하에서 빠른 폐쇄정복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폐쇄정복술과 슈가통 부목은 많은 환자에 있어 명확한 치료를 제공해 줍니다.  이것은 종종 혈종 차단술이라는 것으로 성취됩니다. 골절부위로 에피네프린은 포함하지 않은 1% 리도케인 5~10ml를 주사합니다. 말단 요척골관절이나 척골경상돌기 골절의 환자에서 고려되어야..

운동학 2024.12.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