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전에 의한 손상은 8가지 해부학적 부위로 나뉩니다.
홀수 부위는 관절 부위에 해당되어 1,3,5,7은 각각 원위부 지절간관절, 근위부 지절간관절, 중수지절관절 그리고 손목 관절 부위에 해당됩니다. 정상적인 신전 기전은 손의 내재근과 외신전근의 조화에 의합니다. 원위부 지절간관절과 근위부 지절간관절의 신전은 정상적으로 손의 내재근(골간근과 벌레근)에 의해 조절되지만 중수지절관절의 과신전이 방지되면 외재건은 손가락의 신전이 잘 되도록 합니다. 한 부위의 손상은 이웃하고 있는 부위의 보상적 불균형를 초래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폐쇄 추지(망치손가락) 변형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말단건의 손상은 신전 과정을 근위부로 이전시키며 근위부 지절간관절을 과신전시키게 됩니다. 그러므로 신전건 손상은 단순한 정적인 손상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아이들에 있어 이들 손상은 솔터 해리스 유형 2와 3 손상을 생각해야만 합니다. 매우 작은 손가락의 부목 고정은 난해하지만 4주동안 완전 신전 상태로 관절을 고정시키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냅니다. 개방성 손상은 부목을 대기가 특히 어렵고 원위부 지절간관절은 22게이지 바늘로 엇갈려 고정을 해야 합니다.
등쪽 구조물의 일측성 손상 후에는 정상적인 기능이 대개 가능하여 부목이나 고정이 권고되지 않습니다. 등쪽 신전의 완전 손상이나 중앙 슬립의 열상을 복구합니다.
부위 5 신전건 이탈은 부목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손상된 중수지관절은 완전 신전, 요골 편위 상태에서 4주간 부목을 댈 수 있지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손상된 손가락의 요골편위와 신전지연, 통증을 동반하여 툭 튀어나오거나 부종이 있는 경우네는 대개 즉각적인 재건술을 요합니다.
급성 손상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교정을 할 수 있고 만성 손상의 경우에는 국소 조직을 이용하여 재건할 수 있습니다. 대개의 재건술은 건 연결의 일부 혹은 신전건 슬립을 심횡중수인대에 부착하거나 벌레근건의 주위로 고리를 만듭니다.
부위 7,8 신전건 손상은 대개 자상에 의하며 원위부 요골 골절과 류마티스성 활막염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마멸성 파열도 손목 부위에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직접적 봉합보다는 건 전이, 건 이식, 평행 전이 등의 방법을 요합니다. 이들에 대한 부목 프로그램은 관통상의 경우와 동일합니다. 손상 3주 이후의 봉합은 긴손바닥 신전근의 약화를 초래하여 건의 미끄럼을 위해서 전기적 자극이 필요합니다. 긴손바닥 신전근은 손바닥을 평평한 바닥에 대고 저항을 주는 엄지 후방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강화됩니다.
1. 건피부 고정술
건피부 고정술은 추지장애를 받아들이기 힘든 비교적 젊은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비교를 간단한 방법입니다.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원위부 지절간관절을 완전 신전시키고 잔여 가건을 절제하여 건의 변연부를 맞춥니다. 철사를 사용하여 원위부지절관절을 완전 신전시킨 채 일시적으로 고정합니다.
3~5일
-수술 후 사용한 부목을 제거하고 원위부지절간관절을 신전시키는 부목을 맞춥니다. 핀이 노출되어 있다면 핀 보호 부목이 필요할 수 있지만 부목 없이 손가락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일부 환자에서는 핀을 묻어버립니다.
-완전한 관절운동을 위해 근위부 지절간관절운동을 시작합니다.
5주
철사를 제거하고 능동적 원위부 지절간관절운동을 시작하고 간헐적으로 부목을 합니다.
이후 3주 동안 밤에만 부목을 착용합니다.
2. 중앙 슬립건 절제술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근위부 지절간관절의 등쪽 낭과 닿는 중앙 슬립의 주입부를 절개합니다. 외측 띠와 외재적 부분은 그대로 놔둡니다. 등쪽 구조들의 근위부 이동으로 인해 원위부 지절간관절의 신전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근위부 지절간관절에서의 10~15도 신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0~2주
-수술 후 드레싱으로 근위부 지절간관절은 45도 굴곡시키고 원위부 지절간관절은 0도로 유지합니다.
2~4주
-능동적으로 원위부 지절간관절은 굴곡/신전시킵니다
-근위부 지절간관절을 45도 굴곡에서 완전 신전시킵니다.
4주
-완전한 손가락 관절범위운동을 시작합니다.
3.빗지지인대 재건술
빗지지인대 재건술은 만성적인 추지 변형과 이차적 백조목 변형의 교정에 사용됩니다. 긴 손바닥근건 등의 건 이식은 원위부 수지의 등쪽 기저 부위와 근위부지절간관절 축의 장측을 지니게 됩니다. 이식은 반대쪽 근위부 수지의 섬유-골테에 부착됩니다. 철사로 원위부지절간관절은 완전 신전시키고 근위부지절간관절은 10~15 굴곡시킨 채 일시적으로 고정합니다.
3주
-수술 후 드레싱과 봉합을 제거합니다.
-근위부 지절간관절 핀을 제거합니다.
-근위부 지절간관절의 능동적 굴곡/신전운동을 시작합니다.
4~5주
-원위부 지절간관절을 K 철사로 고정한 상태입니다.
-이후 2~3주간 완전한 관절범위 확보를 위해 추가적인 재택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합니다.
-수술 후 6주까지는 원위부 지절간관절의 완전 신전을 위해 내부 부목을 유지합니다.
등쪽 구조물의 일측성 손상 후에는 정상적인 기능이 대개 가능하여 부목이나 고정이 권고되지 않습니다. 등쪽 신전의 완전 손상이나 중앙 슬립의 열상을 복구합니다.
0~2주
-근위부 지절간관절의 능동적/수동적 운동을 시행으로 중수지절관절 완전 신전, 손목은 40도 신전시킵니다.
2주
-봉합을 제거하고 제거 가능한 부목을 착용합니다.
-중수지절관절을 완전 신전시키고 손목을 중립에 위치합니다.
'운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근관증후군 (신경압박증후군) (3) | 2024.12.16 |
---|---|
다섯 번째 중수골 경부 골절(권투선수 골절) / 무지중수지절관절의 척골 측부인대의 손상(사냥터지기의 무지) (2) | 2024.12.16 |
방아쇠수지(협착굴근 윤활막염) / 심수지굴근 박리 (3) | 2024.12.14 |
굴곡건 손상 (2) | 2024.12.14 |
손목 굽힘근육들의 기능 (6)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