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쇠수지는 굴근집의 팽팽한 A1 도르래 부분을 통해 수진굴근건이 갑작스럽게 당겨질 때 딱 소리가 나면서 통증을 수반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방아쇠수지의 근원이 되는 병태생리는 손가락의 두 굴근건(천수지굴근과 심수지굴근)이 A1 도르래 아래로 부드럽게 미끄러져 들어가지 못하여 이로 인해 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수축된 도르래를 통해 건의 마디가 갑작스럽게 당겨지게 되어 발행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손가락의 굴곡이나 신전시 모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이 A1 도르래의 협착에 의한 것인지 건의 비후에 의한 것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두 요소 모두 수술시에 흔히 발견됩니다.
방아쇠수지는 폐경 후 여성의 엄지, 중지, 약지에서 흔히 발생하고 당뇨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른 건염을 지닌 환자에서 더욱 흔합니다. 환자는 환측수지가 딸깍 거리거나 고정되거나 툭하고 튀어나오는 현상을 주로 호소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반드시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환자는 흔희 비후된 A1 도르래(원위부 손바닥 주름의 위치에 해당) 주위로 촉지되는 작은 결절을 지니게 됩니다. 이 결졀은 건을 움직일 경우 촉지할 수 있으며 심부압박을 가할 경우 흔히 통증을 수반합니다. 이러한 증상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환자로 하여금 주먹을 꽉 쥐도록 한 다음 손가락을 완전히 펴도록 해야 하는데 부분적으로 손가락을 굽힐 경우에는 이러한 증상을 피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방아쇠수지는 치료 없이 시간이 지나서 회복되는 경우는 두뭅니다. 치료되지 않은 채로 방치되면 통증이 지속되겠지만 관절이 잠긴 상태로 유지되면 영구적인 관절 강직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손가락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부목 고정을 통한 보존적 치료 방법이 사용되어 왔지만 강직의 발생 등 결과가 좋지 않아 사용이 중단되었습니다. 현재 비수술적 치료로는 국소 마취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혼합하여 굴근집에 주사하는 것이 사용됩니다. 한 번의 주사로 66%의 환자에서 통증을 경감할 수 있으며 다수의 주사로 75~85%의 환자에서 통증 경감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약 1/3의 환자에게서는 세 번 이하의 주사로 증상의 영구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나머지 2/3의 환자에게서는 수술적 치료가 요구됩니다. 방아쇠수지의 수술은 비교적 간단히 국소 마취하에 외래에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1~2cm 손바닥의 절개를 통해 a1 도르래를 확인하고 완전히 분할시킵니다.
소아에서의 방아쇠 엄지는 영아의 엄지 A1 도르래의 협착으로 인해 굴곡된 상태로 잠기게 되는 (신전의 장애) 선천적 질환입니다. 대개 양측성으로 발생하며 엄지가 잠김 상태에 있기 때문에 통증이나 딸깍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약 30%의 아이들은 1세까지 자연 회복되며 나머지는 영구적 관절굴곡 구축을 방지하기 위해 2~3세경에 팽팽한 A1 도르래를 이완시켜 주는 수술을 필요로합니다.
심수지굴근의 박리는 어느 손가락에서든지 나타날 수 있지만 약지에서 가장 흔합니다. 이 손상은 운동선수가 상대방의 옷을 붙잡고 손가락을 굽히려 하다가 강제적으로 펴질 때(굴곡된 손가락에 과신전 압력) 손가락의 원위부 마디에 통증을 느끼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손가락 원위부 마디의 능동적 굴곡 능력(심수지굴근의 기능) 결함의 확인이 진단을 위해 특히 중요합니다. 부어오른 손가락은 다른 손가락에 비해 신전된 양상을 보입니다. 심수지굴근의 수축 부위가 박리시키는 힘을 작용했음을 나타냅니다. 박리된 건의 수축한 부위에 따라 심수지굴근 박리의 세 가지 유형을 기술하였습니다. 치료는 손상 부위에 근거합니다.
제1유형 손상
박리된 심수지굴근이 손바닥으로 수축됩니다. (골파편은 없음) 양쪽 힘줄끈이 박리되어 혈류 공급에 장애가 초래됩니다. 원위부 수지의 초기 (10일 이내) 재부착은 좋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2주 후 건의 탄성도는 감소하여 원위부 수지에까지 닿지 못하게 됩니다.
제2유형 손상
심수지굴근 박리의 가장 흔한 유형 박리된 건은 천수지굴근의 교차지점에 갇히게 되고 힘줄끈에 의해 유지됩니다. 힘줄끈은 보존되고 박리는 원위부 수지의 골 파편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손상된 원위부 지절간관절의 운동 제한이나 건의 미끄러짐을 막기 위해 조기 치료가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제3유형 손상
커다란 골 파편이 A1 도르래를 지나 수축하는 것을 막습니다. 시뭇지굴근의 혈류 공급은 보존되고 건도 힘줄집 안에서 영양 공급을 받습니다. 골의 박리를 당겨서 안정화시키는 것이 치료입니다(봉합이나 철사를 사용)
심수지굴근 박리의 치료는 주로 수술적 방법입니다., 치료의 성공 여부는 진단의 정확성, 조기 수술적 치료, 수축의 부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수축이 거의 없는 건의 경우는 골 파편이 심하게 되어 뼈끼리 재부착이 되려면 6주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수축이 심한 건의 경우 골 파편이 없는 경우가 많고 혈류 공급의 장애를 초라하게 되어 손상 10일 이후에 수술을 하는 경우에는 수축도 심하고 뼈와 뼈가 아닌 부위와의 약한 고정 및 혈류 공급의 제한으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시일에 경과한 후의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근위부지절간관절 고정술, 건 고정술, 단계적 건 재건술 등이 있습니다.
골의 복구가 안정된 경우
0~10일
-등쪽 고정 부목으로 손목을 30도 굴곡시키고, 중수지관절은 70도 굴곡시키고 원위부 지절간관절, 근위부 지절간관절은 완전히 신전시킵니다.
-등쪽 고정 부목 내에서 부드럽게 수동적으로 원위부 지절간관절, 근위부 지절간관절을 40도까지 굴곡시킵니다.
-10일 후 봉합 제거합니다.
'운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섯 번째 중수골 경부 골절(권투선수 골절) / 무지중수지절관절의 척골 측부인대의 손상(사냥터지기의 무지) (2) | 2024.12.16 |
---|---|
신전건 손상 (2) | 2024.12.15 |
굴곡건 손상 (2) | 2024.12.14 |
손목 굽힘근육들의 기능 (6) | 2024.12.12 |
손목 근육들의 기능 (4)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