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은 일차적인 근육들과 이차적인 근육들에 의해 조절됩니다. 일차적인 근육들의 힘줄들은 손목뼈 안이나 손허리뼈의 몸쪽 끝부분에 먼 쪽 부착 부위를 가지며 이러한 근육들은 손목에만 작용합니다. 이차적인 근육들의 힘줄들은 손목을 지나 먼 쪽으로 계속 주행하여 손가락들에 부착됩니다. 따라서 이차적인 근육들은 손목과 손에 대한 작용을 갖게 됩니다.
손목의 안-가 쪽 축과 앞-뒤쪽 축은 알머리뼈 머리에서 교차합니다. 긴손바닥근만 제외하면 힘 선이 돌림 축을 정확하게 통과해 지나가는 근육이 없습니다. 따라서, 적어도 해부학적 자세에서 손목의 모든 근육은 시상 면과 이마면 내에서 토크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모멘트 팔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긴노쪽손목폄근은 안 - 가 쪽 돌림 축의 등쪽을 지나가고 앞-뒤쪽 돌림 축의 가쪽을 지나갑니다. 이러한 근육의 수축만으로도 손목의 폄과 노쪽치우침이 결합한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순수한 노쪽치우침을 만들어내기 위해 긴노쪽손목폄근을 사용한다면 원치 않은 손목 폄을 중화시킬 수 있는 다른 근육들의 활성이 있어야 합니다. 손목과 손의 근육들은 의미 있는 움직임을 생산하는 데 있어 단독으로 작용하는 일은 거의 드뭅니다. 이런 근육들 사이의 협동을 좀 더 알아보면 좋습니다.
일차적인 손목 폄근육들에는 긴노쪽손목폄근, 짧은노쪽손목폄근, 그리고 자쪽손목폄근이 있습니다. 손가락폄근 또한 확실한 손목 폄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주로 손가락들의 폄에 연루됩니다. 다른 이차적인 손목 폄근육들로는 집게폄근, 새끼폄근, 그리고 긴엄지폄근이 있습니다. 일차적으로 손목 폄근육들의 몸쪽 부착부위는 위팔뼈의 가쪽 위관절융기와 자뼈의 등쪽모서리나 근처에 위치합니다. 긴노쪽손목폄근과 짧은노쪽손목폄근은 각각 둘째와 셋째손허리뼈바닥의 드으쪽에 먼쪽 부착 부위를 갖습니다. 손목의 등쪽면과 등쪽-노쪽면을 지나가는 근육들의 힘줄들은 폄근육지지띠에 의해 적절히 고정됩니다. 자쪽으로, 폄근육지지띠는 자쪽손목굽힘근의 힘줄, 콩알뼈, 그리고 콩알손허리인대의 바닥쪽에 부착되기 위해 자뼈의 붓돌기 주위를 감쌉니다. 노쪽으로, 폄근육지지띠는 노뼈의 붓돌기와 노쪽곁인대에 부착됩니다. 폄근육지지띠는 그 밑에 있는 힘줄들이 손목의 능동적 움직임 동안 노손목관절로부터 활시위 처럼 당겨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폄근육지지띠와 그 밑에 있는 뼈들 사이에는 힘즐과 이 힘줄들의 윤활집을 함께 감싸고 있는 여섯개의 섬유뼈구획들이 있습니다. 각각의 구획은 특정 힘줄들을 감쌉니다. 힘줄윤활막염은 관계된 힘줄들에 대한 장력을 증가시키는 반복적이거나 강력한 활동들에 의해 이러한 구획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구획1에 있는 힘줄들과 이를 에워싸고 있는 윤활막들에서는 특히 드퀘르뱅 힘줄윤활막염이라 불리는 염증성 상황이 쉽게 발생됩니다. 이런 통증성 상황을 자주 유발하는 활동들에는 작동스위치의 반복적 누름, 아래팔의 뒤침과 엎침을 반복하면서 도구잡기, 또는 빨래 짜기가 있습니다. 드퀘르뱅 힘줄윤활막염은 음성영동법이나 이온영동법, 코르티손 주사, 냉, 손-손목-엄지보조기 착용 그리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활동들의 수정에 근거해 보존적 치료법을 이용하게 됩니다. 보존적 치료가 염증을 감소시키는데 실패했다면, 첫째 구획에 대한 수술적 방법이 사용됩니다.
손목을 가로지르는 근육들의 상대적인 위치, 가로단면적, 그리고 내적인 모멘트 팔의 길이에 대한 자료는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손목의 돌림축에 대한 근접한 위치를 안다면 이러한 자료들은 손목 근육들의 작용과 상대적 토크를 추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자쪽손목폄근과 자쪽손목굽힘근을 생각해봅시다. 돌림축으로부터 각 힘줄의 위치를 알게 됨에 따라 자쪽손목폄근은 폄근육과 자쪽치우침근육으로 사용되고 자쪽손목굽힘근은 굽힘근육과 자쪽치우침근육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수있게됩니다. 두 근육은 유사한 가로단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등한 수준의 최대힘을 생산할 것입니다. 따라서 자쪽손목폄근은 폄근육보다는 자쪽치우침근육으로 고려되고 자쪽손목폄근은 굽힘근육과 자쪽치우침근육 둘 다로 고려됩니다.
손목폄근육들의 중요 기능은 손가락들의 능동적 굽힘이 연루된 활동들 동안 손목을 안정시키고 위치 화 시키는 것입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주먹을 쥐기나 강력한 잡기를 하는 동안에 작용한 손목 폄근육들의 역할입니다. 이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빠르게 주먹을 쥐었다 펴기를 반복할 때 손목 폄근육들에서의 동시 활성을 느껴보기를 바랍니다. 외재성 손가락 굽힘근육들인 깊은손가락굽힘근과 얕은 손가락 굽힘근은 손목 굽힘근육들로서 확실한 내적인 모멘트팔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건을 강력하게 잡을 때 손목 폄근육들은 손가락 굽힘근육들에 의해 생산된 손목 굽힘의 토크를 상쇄해야 합니다. 이러한 위치는 외재성 손가락 굽힘근육들의 길이 - 장력 관계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최대의 잡기힘이 발휘되도록 합니다.
잡기 힘은 손목이 완전히 굽힘되어 있을 때 확실히 감소합니다. 감소한 잡기 힘은 2가지 인자들의 결합에 의해 유발됩니다. 첫째, 손가락 굽힘근육들이 아주 짧아진 상태에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길이-장력곡선을 고려한다면 적절한 힘을 발생시킬 수 없습니다. 둘째, 과도하게 신장한 손가락 폄근육들 특히 손가락 폄근은 손가락에서 수동적인 폄근육 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효율적인 잡기 힘은 좀 더 감소합니다.
'운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섯 번째 중수골 경부 골절(권투선수 골절) / 무지중수지절관절의 척골 측부인대의 손상(사냥터지기의 무지) (2) | 2024.12.16 |
---|---|
신전건 손상 (2) | 2024.12.15 |
방아쇠수지(협착굴근 윤활막염) / 심수지굴근 박리 (3) | 2024.12.14 |
굴곡건 손상 (2) | 2024.12.14 |
손목 굽힘근육들의 기능 (6)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