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부 요골 골절의 성공적인 치료는 골의 해부학적인 정렬을 회복하는 동안 연부조직을 고려해야만 합니다. 외과 의사는 손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해 활주하는 구조물이 제한되거나 석고붕대가 너무 조이지 않도록 골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만 합니다. 중족지골관절 운동은 자유롭게 남아 있어야합니다. 손목은 굴곡된 자세로 신연되거나 위치되어서는 안되는데, 이는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자세가 외재건들의 기계적인 이득을 줄여주고 수근관에서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수근건 손상을 악화시키고 관절의 경직에 공헌하기 때문입니다. 정중신경 기능장애의 인지 및 즉각적인 치료와 요골 감각신경가지들의 손상을 피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손의 종창을 막기 위해 특별한 관심이 요구됩니다. 종창은 손의 경직과 내재근의 구축에 공헌합니다. 손, 손목, 아래팔의 움직임과 기능적인 사용은 골절된 손목의 재활을 완성시킵니다.
원위부 요골 골절의 성공적인 치료에 대한 열쇠는 관절 적합성의 회복, 요골길이, 적절한 손바닥의 기울기, 경직의 방지, 안정된 구조물의 조기 운동 등을 포함합니다.
<임상적 배경>
원위부 요골 골절은 나이든 사람들, 특히 여자에서 흔한데 이는 뼈가 더 약하고 낙상하기 쉽게 때문입니다. 나이든 사람들은 건강하고, 더 활동적이며 그리고 전보다 더 다양해져야 하며 그리고 치료 결정은 환자의 나이 하나에만 국한되지 않고 빈약한 골질의 가능성을 고려해야합니다. 젊은 성인의 원위부 요골 골절에서는 상당량의 에너지가 필요한데, 대부분의 이와 같은 골절은 교통사고, 높은 곳에서의 낙상 또는 스포츠활동에서 발생됩니다. 젊은 성인에서의 편위골절은 동반된 수근 골절과 건손상, 급성 구획증후군 그리고 다발 손상과 연관되기 쉽습니다.
요골의 원위말단은 두 개의 중요한 기능을 가집니다. 그것은 손목뼈와 전완관절부의 일차적 지지의 기능입니다. 원위요골 골절이 부정렬로 회복됐을 때 관절연골의 표면 압력은 높아지거나 균일하지 않게 될 것이며 손목뼈는 부정렬되고 척골은 손목뼈와 충돌할 것이며 또는 원위부 요척골관절은 일치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와같은 상태가 통증, 움직임의 상실 그리고 관절증을 야기합니다.
원위요골의 정렬은 삼면에서의 정렬을 정의하기 위해 방사선학적 방법들을 이용하여 관찰됩니다. 원위요골의 단축은 척골을 위한 후면촬영에서 원위요골의 월상 소관절면과 척골 골두 사이의 차이로 가장 잘 측정됩니다. 시상면에서의 원위요골의 정렬은 척골 경사 후면촬영에서 원위요골관절면의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됩니다. 관상면에서의 원위요골의 정렬은 측면 방사선사진에서의 원위요골관절면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평가됩니다. 정상인의 연구에서 원위요골의 관절면이 일반적으로 약 11도 정도 장측으로 그리고 22도 척골측으로 지향되며 그리고 중립의 척골변이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근위요골의 감입 (요골 길이의 손실)>
이것은 요골 길이 또는 높이의 손실에 관여합니다. 정상적으로 요골관절면은 원위척골관절면에 1~2mm 원위(척골 양성) 또는 근위(척골 음성) 내에 위치합니다. colles 골절은 중요한 높이를 잃어버리게 되는데, 이는 원위요척골 관절 소화의 소실과 손목회전의 어려움을 야기합니다.
<배측 각형성(손바닥 경사의 소실)>
정상적으로 원위요골의 측면 사진에서 11도의 장측 경사를 가집니다. colles 골절은 종종 손바닥 경사도를 전환시킵니다. 20도 또는 그 이상의 배측 경사도는 원위요척골관절의 조화에 영향을 미치며 손목뼈 정렬에 보상적인 변화를 야기합니다.
<배측 전위>
배측 전위는 접촉 부위를 줄여줌으로써 원위 분절의 불안정성에 크게 기여합니다.
<요골 전위 (측방전위)>
요골 전위는 원위요골 분절이 척골에서부터 멀리 전위될 때 발생합니다.
<요골 경사의 소실>
요골은 정상저긍로 최대 22도의 요척골 경사도를 가지는데, 요골의 척골 측으로 있는 요골경사돌기의 끝과 요골의 길이를 따라서 종단선과 비교하여 측정됩니다.
경사도의 소실은 손의 약화와 피로를 가져와 골절을 야기합니다. 원위요골분절의 인식되지 못한 회외운동은 또한 골절 불안정성을 야기합니다.
<분류>
원위요골 골절의 성공적인 치료는 손상 특성의 정확한 인식과 그것들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수의 분류 시스템이 기술되는 반면에 가장 중요한손상요소는 fernadez 시스템에서 포착되는데 이는 굴절골절, 전단골절, 압박골절, 골절 전위 그리고 다발성 형태들을 포함한 고에너지 골절로 구분지어집니다.
Type1 굴곡 형태 골절은 관절 외 골절, 골 중간부 골절입니다. 배측으로 전위된 골절은 colles 골절로 흔하게 부릅니다. 손바닥으로 전위된 굴곡 골절은 흔하게 smith 골절로 불립니다.
Type2 또는 관절 진단골절은 장측 그리고 배측 barton 골절로 구성되며 요골 경상돌기 골절의 전단 골절 그리고 월상면의 전단 골절 등이 있습니다.
Type3 또는 압박골절, 원위요골의 관절면을 분리하는 골절들을 포함합니다. 거대한 손상압력을 가지고 손상의 진행이 나타납니다. 주상골과 월상골 단면의 관상 분리로의 진행이 나타나며 그리고 분절로의 분리가 진행됩니다.
Type4 요골수근 골절-전위, 작은 견열 골절과 함께 요수근관절의 전위가 특징적입니다.
Type5 골절은 모든 다른 형태의 골절을 포함하며, 전완구획증후군과 연관되고, 개방성 상처 또는 손목뼈, 아래팔 또는 팔꿈치의 손상과 연관됩니다.
'운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전근건 박리술 /추지 (2) | 2024.12.17 |
---|---|
원위부 요골 골절 2 (1) | 2024.12.17 |
주상골 골절 (2) | 2024.12.16 |
관절성형술 (1) | 2024.12.16 |
수근관증후군 (신경압박증후군) (3)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