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부 질병 - 주상골 골절
주상골 (손목 주상골)은 손목의 뼈 중에서 가장 흔하게 골절되는 뼈이고, 종종 진단과 치료가 힘듭니다. 합병증으로는 불흉합, 부전유합이 있으며, 손목의 역동학에 변화를 주게되고 이로 인하여 통증, 관절가동범위의 감소, 근력의 약화 그리고 조기 요골수근관절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상골의 혈류 공급은 불안정합니다. 요골동맥의 분지가 주상골의 배측, 원위부 1/3, 외측-장측면으로 들어갑니다. 근위부 1/3은 골간 분지로부터 혈류 공급을 받는데 이것이 주상골들의 1/3에서는 유일한 공급원이어서 무혈사 괴사 (AVN)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주상골 골절은 흔히 골절 부위에 따라 나뉩니다. 근위부 1/3, 중간부 1/3 (또는 허리부), 원위부 1/3 또는 결절부, 중간부 1/3의 골절이 가장 흔하며, 원위부 1/3 의 골절은 아주 드뭅니다.
주상골 골절은 흔히 손목의 과신전과 요측 굴곡과 함께 일어나며 젊은 남자에서 가장 흔합니다. 환자는 흔히 해부학적 스너프박스 (첫 번째와 세 번째 배측 구획 사이) 에서 압통을 느끼며 원위부 주상골 결절 장측부에서는 드물며, 무지중수골의 장축 압력에 의해 통증이 증가합니다. scaphoid라는 단어는 그리스의 boat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손목에서 비스듬한 방향성 때문에 종종 X-선에서 구별하기 힘들기도 합니다.
후전방, 사선방, 외측방, 척골굴곡 후전방사진이 촬영되어야 합니다. 만일 임상적으로 어떤 의심이 든다면 수상 후 이틀 이내에도 자기공명영상(MRI) 검사가 주상골 골절을 진단하는데 있어 아주 민감합니다. 만일 자기공명영상검사가 불가능하다면, 스너프 박스에 압통이 있는 환자는 10~14일간 고정되어야 하며, 이후에 부목을 풀고 다시 사진을 촬영해야 합니다. 만일 진단이 여전히 의심스럽다면, 골주사검사의 적응증이 됩니다.
주상골 골절 전위의 평가는 치료에 있어 필수적이며, 얇은 단면 (1mm) 전산화단층촬영이 좋은 검사 방법이라 하겠습니다. 전위는 골절간 간격이 1mm 이상인 경우, 외측 주상골-월상골 각도가 60도 이상인 경우, 외측 요골-월상골 각도가 15도 이상인 경우 또는 주상골내 각도가 35도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주상골 골절의 평가>
A. 주상골의 압통은 해부학적 스너프 박스를 손등쪽에서 촉진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습니다.
B. 압통은 또한 손바닥쪽에서 요측수근부굴곡건의 요측과 근위부 손목금에서 주상골 촉진함으로써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완전한 비전위성 골절은 모지수상 부목 고정으로 비관혈적으로 거의 항상 치유가 됩니다.
-팔꿈치관절 상부 혹은 하부 깁스 고정은 여전히 논란거리입니다. 6주간 슈가통(sugar tong) 모지수상부목 후 최소 6주간의 단상지(short arm) 모지수상부목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주상골의 유합은 가는 구획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증명이 됩니다.
-수술적 치료는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합병증(손목강직, 무지구근의 위축, 힘든 일이나 스포츠로의 복귀지연)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비전위성 골절, 이전에 인식되지 못한 또는 치유되지 않은 주상골의 골절 그리고 주상골 불유합의 경우에 적응증이 됩니다.
-비전위성 골절에 대해서는 유관 나사못을 이용한 경피적 고정이 적합합니다.
-전위성 골절은 관혈적 정복술이 적합합니다.
<모지수상 부목(비수술적)으로 치료하는 주상골 골절 - 재활 프로그램>
0~6주
-sugar tong 모지수상 부목
-능동적인 어깨관절 가동범위
-능동적인 둘재부터 다섯째 수지의 중수지절관절, 근위지절관절, 원위지절관절 관절가동범위
6~12주 (골유합)
-촉진에 압통이 없고 석고붕대를 풀고 무통의 관절가동범위
-단상지 모지수상 부목
-어깨관절과 손가락의 운동을 지속
-팔꿈치관절의 굴곡, 신전, 회외, 회내 운동을 시작
12주
-유합을 확인하기 위한 전산화단층촬영, 만일 비유합이면 모지수상 부목을 지속
-무지구에 대한 강력한 보조능동 운동
18주
-악력 강화, 강력한 가동범위운동
-비제한적인 활동
<개방정복내고정술(ORIF)을 받은 주상골 골절 - 재활프로그램>
0일~10일
-sugar tong 모지수상 부목을 올리고 냉치료
-어깨관절 가동범위
-중수지절관절/ 근위지절관절/원위지절관절 능동 가동 범위 운동
10일~4주
-봉합사 제거
-sugar tong 모지수상 부목 (팔꿈치 관절 고정)
-수부, 어깨관절 관절가동범위 지속
4~8주
-단상지 모지수상 부목
-팔꿈치괁러 보조능동 신전/굴곡/회외/회내, 2~5째 수지의 능동 관절가동, 어깨관절 능동관절 가동
8주
-골절의 유합을 확인하기 위한 전산화단층 촬영
8주~10주 (유합간주)
-제거할 수 있는 모지수상 부목
-자가운동 프로그램 시작
손목관절의 굴곡과 신전에 대한 부드러운 보조 능동 가동범위운동
손목관절의 요측/척측 굴곡에 대한 부드러운 보조 능동가동범위운동
모지중수지절 및 지절관절에 대한 부드러운 보조 능동 가동범위운동
무지구에 대한 부드러운 보조능동운동 (cone exercise)
10~14주
-모든 부목 중지
-체계화된 작업치료
손목관절에 굴곡과 신전에 대한 강력한 보조 능동가동범위 운동
<주상골 골절에 대한 치료와 재활 - 재활 프로토콜>
-능동적/ 적극적-보조적 손목의 척골측/ 요골측 굴곡 관절가동
-능동적/ 적극적-보조적 무지지간관절 / 중수지절관절의 관절가동
-능동적/ 적극적-보조적 무지원추운동
14주 이상
-꽉쥠의 강화 운동
-적극적인 관절 가동운동
-활동의 제약이 없음
'운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위부 요골 골절 2 (1) | 2024.12.17 |
---|---|
원위부 요골 골절 (2) | 2024.12.16 |
관절성형술 (1) | 2024.12.16 |
수근관증후군 (신경압박증후군) (3) | 2024.12.16 |
다섯 번째 중수골 경부 골절(권투선수 골절) / 무지중수지절관절의 척골 측부인대의 손상(사냥터지기의 무지) (2)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