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운동학 18

관절성형술

근위지절관절 관절성형술은 중수지절관절에 상대적으로 문제가 없는 환자들에게 일차적으로 적용됩니다. 중수지절관절이 심하게 침범된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은 보통 배제됩니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최선의 치료 선택은 중수지절관절 관절성형술과 함께 연부조직 교정을 위한 연부조직 시술이나 근위지절관절 고정술을 하는 것입니다. 골관절염 환자들은 인지를 제외하고는 근위지절관절 관절성형술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신전부의 교정술이 필요치 않을 경우 조직이식을 위하여 손바닥쪽 접근이 이용될 수 있습니다. 능동적 굴곡과 신전운동은 수술 직후부터 시작될 수 있습니다.  근위지절관절 관절성형술 후 재활은 관절성형술이 경직된 지골간관절이나 외측 편향의 재건을 위한 것인지 혹은 boutonniere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것인지에..

운동학 2024.12.16

수근관증후군 (신경압박증후군)

수근관증후군은 일반 인구의 약 1%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입니다. (가장 흔한 말초신경병중) 중년 내지는 노년에 많이 발생하며, 한 연구에서는 1,215명의 환자 중 83%가 40세 이상이었고 평균 연령은 54세였습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하여 2배의 빈도로 자주 발생합니다.  수근관은 견고하게 경계된 섬유골 공간이며 생리적으로서 역할을 합니다.  CTS는 손목 부위에서 정중신경의 압박에 의해 야기됩니다. 임상 증상은 정중신경분지의 (엄지, 검지, 중지의 손바닥 부위) 통증, 저림, 아리고 쑤시는 증상 등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중 몇 개 혹은 전체에 나타납니다. 밤에 손바닥 부위의 (정중신경 분포 부위) 통증과 이상감각이 흔한 증상입니다.  잠자는 돟안 환자의 머리나 배개에..

운동학 2024.12.16

다섯 번째 중수골 경부 골절(권투선수 골절) / 무지중수지절관절의 척골 측부인대의 손상(사냥터지기의 무지)

중수골 경부 골절은 손의 가장 흔한 골절 중 하나입니다. 다섯 번째 중수골의 골절은 거의 가장 빈번하고 대개의 기전이 빗나간 주먹이 더 강한 두세 번째 중수로 맞닥뜨리지 않아서 생기기 때문에 권투선수 골절이라고도 불립니다.  환자는 대개 통증, 부종, 중수지절관절의 운동 소실을 나타냅니다. 때때로 회전성 변형이 나타납니다. 환자가 주먹을 쥘 때 손가락의 잘못된 회전이 없는지, 손바닥에서 원위부 조각의 특이한 돌출(장측으로 치환된)이 없는지, 얀관된 손가락의 신전근 지연이 없는지 등을 확신하기 위해 세심한 검사가 수행되어야 합니다.    측면 방사선에서 중수골 골절의 각도는 중수골 체부들의 아래로 선을 긋고 각도기로 각도를 잼으로써 결정됩니다.  치료는 손의 실제 측면에서 치환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

운동학 2024.12.16

신전건 손상

신전에 의한 손상은 8가지 해부학적 부위로 나뉩니다.  홀수 부위는 관절 부위에 해당되어 1,3,5,7은 각각 원위부 지절간관절, 근위부 지절간관절, 중수지절관절 그리고 손목 관절 부위에 해당됩니다. 정상적인 신전 기전은 손의 내재근과 외신전근의 조화에 의합니다. 원위부 지절간관절과 근위부 지절간관절의 신전은 정상적으로 손의 내재근(골간근과 벌레근)에 의해 조절되지만 중수지절관절의 과신전이 방지되면 외재건은 손가락의 신전이 잘 되도록 합니다. 한 부위의 손상은 이웃하고 있는 부위의 보상적 불균형를 초래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폐쇄 추지(망치손가락) 변형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말단건의 손상은 신전 과정을 근위부로 이전시키며 근위부 지절간관절을 과신전시키게 됩니다. 그러므로 신전건 손상은 단순한 정적인 손상..

운동학 2024.12.15

방아쇠수지(협착굴근 윤활막염) / 심수지굴근 박리

방아쇠수지는 굴근집의 팽팽한 A1 도르래 부분을 통해 수진굴근건이 갑작스럽게 당겨질 때 딱 소리가 나면서 통증을 수반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방아쇠수지의 근원이 되는 병태생리는 손가락의 두 굴근건(천수지굴근과 심수지굴근)이 A1 도르래 아래로 부드럽게 미끄러져 들어가지 못하여 이로 인해 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수축된 도르래를 통해 건의 마디가 갑작스럽게 당겨지게 되어 발행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손가락의 굴곡이나 신전시 모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이 A1 도르래의 협착에 의한 것인지 건의 비후에 의한 것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두 요소 모두 수술시에 흔히 발견됩니다.  방아쇠수지는 폐경 후 여성의 엄지, 중지, 약지에서 흔히 발생하고 당뇨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른 건염을 지닌 환자에서 더욱..

운동학 2024.12.14

굴곡건 손상

-봉합된 건에 적절한 방법으로 초기에 움직이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경우 봉합 후 고정하는 경우보다 강도가 빠르게 증가하며 주변 조직관 유착이 적어지게 됩니다.  -A2와 A4 활차는 손가락의 기계적인 기능에 가장 중요합니다. 두 개 중 하나가 소실된다면 손가락의 운동범위가 감소하고 힘이 감소하거나 손가락 사이의 굴곡 구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천지굴근건은 A1 활차의 입구까지 심지 굴근 건의 수장부 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천지굴근은 챔퍼스 카이즘에서 갈라져 중수지의 근위부 1/2에서 끝납니다.  -손가락과 손목관절이 동시에 굴곡학; 위해서는 9cm의 굴곡(굽힘)건의 이동이 있어야 합니다. 손목관절이 중립의 상태로 고정이 되었다면 굴곡건은 2.5cm의 이동만 있어도 손가락을 완전히 굴곡시킬 수 있습니다..

운동학 2024.12.14

손목 굽힘근육들의 기능

3가지의 일차적인 손목 굽힘 근육들에는 노쪽손목굽힘근, 자쪽손목굽힘근, 그리고 긴손바닥근이 있습니다. 인구의 약 10~15%는 긴손바닥근이 없습니다. 있다 하더라도 긴손바닥근은 힘줄들의 형태나 수에 있어 편차를 보일 것입니다. 이 근육의 힘줄은 힘줄이식술에 있어 공여체로써 흔히 사용됩니다.3가지의 일차적 손목 굽힘근육들의 힘줄들은 앞쪽 아래팔의 먼쪽에서 특히 강력한 등척활성을 하는 동안 쉽게 식별될 수 있습니다. 촉진에 의해 쉽게 식별되지 않는 바닥쪽손목인대는 가로손목인대의 몸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폄근육 지지띠와 유사한 이 인대는 손목 굽힘근육들의 힘줄들을 안정시키며 굽힘 동안 과도하게 일어나는 활시위와 같은 작용을 방지합니다.손목을 굽힘 시킬 수 있는 이차적인 근육으로는 외재성 손가락 굽힘근육들인..

운동학 2024.12.12

손목 근육들의 기능

손목은 일차적인 근육들과 이차적인 근육들에 의해 조절됩니다. 일차적인 근육들의 힘줄들은 손목뼈 안이나 손허리뼈의 몸쪽 끝부분에 먼 쪽 부착 부위를 가지며 이러한 근육들은 손목에만 작용합니다. 이차적인 근육들의 힘줄들은 손목을 지나 먼 쪽으로 계속 주행하여 손가락들에 부착됩니다. 따라서 이차적인 근육들은 손목과 손에 대한 작용을 갖게 됩니다.  손목의 안-가 쪽 축과 앞-뒤쪽 축은 알머리뼈 머리에서 교차합니다. 긴손바닥근만 제외하면 힘 선이 돌림 축을 정확하게 통과해 지나가는 근육이 없습니다. 따라서, 적어도 해부학적 자세에서 손목의 모든 근육은 시상 면과 이마면 내에서 토크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모멘트 팔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긴노쪽손목폄근은 안 - 가 쪽 돌림 축의 등쪽을 지나가고 앞-뒤쪽 ..

운동학 2024.12.12
반응형